탁란은 자기가 직접 둥지를 만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알을 다른 새의 둥지에 위탁해 포란시키는 습성을 말한다. 뻐꾸기는 탁란하는 대표적인 조류로 휘파람새, 붉은머리오목눈이 등 작은 새 둥지에 알을 낳는다. 탁란 성공률은 5~10%정도에 불과하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뻐꾸기의 90%정도가 ‘붉은머리오목눈이’를 택하는데 드물게 동박새가 탁란을 하는 장면을 담게되었다.
뻐꾸기는 몸통은 큰 데, 다리가 짧아 알을 품기가 어려운 신체구조여서 실패 확률이 높지만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낳는 번식방법을 선택해 진화했는데 탁란할 다른 새의 알과 구별이 안 될 정도로 같은 모양의 알을 낳는다.
둥지로 돌아온 어미 새는 자신의 알보다 큰 알을 발견하고 알을 깨버리는 경우도 있지만 상당수는 자기 알로 판단하고 정성을 다해 키운다. 뻐꾸기 알은 포란 기간이 짧아 다른 알보다 빨리 부화하는데, 먼저 태어난 뻐꾸기 새끼는 남아있 는 다른 알을 둥지 밖으로 밀어내고 다른 알이 부화하면 그 새끼마저 둥지 밖으로 밀어내 버린다.
부화한 뻐꾸기 새끼는 숙주 새의 새끼와 같은 소리를 내지만 커서 둥지를 떠나면 숙주 새의 소리는 잊어버리고 뻐꾸기 소리로 운다.
새끼가 커서 둥지를 나와 여기저기로 날아다녀도 쫓아다니며 정성스럽게 먹이를 주고있다.
'동물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각시 (0) | 2021.09.21 |
---|---|
꿩 (0) | 2021.08.04 |
동박새 (Japanese White-eye) (0) | 2021.02.19 |
청설모의 겨울나기 (0) | 2021.01.21 |
올림픽공원의 겨울새들 (0) | 2021.01.10 |